카테고리 없음2023. 1. 15. 23:01
반응형

요즘들어 은행권에 대해 비판적인 기사가
상당히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억대연봉, 성과급잔치, 예금금리는 안올리고
대출금리만 올린다
땅파서 장사한다 등등

은행업은 금융업의 가장 대표적인 금융회사이자
대한민국 산업의 자본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인데
왜 이렇게 동네북처럼 연봉많이받으면
많이 받는다고 욕먹고,
대출금리 높이면 높인다고 욕먹을까요

은행도 주식회사이자 사기업인데
왜이렇게 시어머니들이 많은지
오늘 간단히 살펴볼까요?



자료처럼 우리나라 4대 금융지주 지분은
공기업도, 재벌기업도 아닌 주식회사입니다.
각 금융회사마다 대주주가 존재하지만,
절대적이진 않죠
우리은행이야 얼마전까지 워크아웃상태로
정부에서 관리하던 은행이라 예금보험공사 지분이
많지만, 다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은
재벌 소유도 아닌, 정부 소유도 아닌
오직 주주의 이익을 위해 사업을 하는
순수한 주식회사입니다.

그렇다면 주식회사인 금융회사 특히 은행들은
왜 이렇게 정부눈치를 보면서
연봉을 많이 받으면 욕먹고,
기준금리가 올라서 예금, 대출금리를 올리려고 해도
이렇게 시어머니들이 많을까요?



은행의 모든 사업은 법에 규제된 것들이 상당히많습니다.
은행의 지분, 투자, 대출한도, 예금한도 등등
어느 하나 은행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없죠
다 정부에서 하한선, 상한선, 총량을 정해주고
그 안에서 영업해야 하는 대표적인 규제산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4대 시중은행들 모두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의 규제정책 하나하나에 따라
사업이 정해지는 정부의 입김이 아주 강력한 업종이죠

그렇기 때문에 은행들은 기준금리가 올라서
예금금리를 올리고 싶어도,
정부에서 예금금리를 올리지 말라고 눈치를 주면
알아서 예금금리를 올리지 않고,
예금금리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대출금리도
자동으로 오르지 않는 것입니다.

기준금리가 올라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리면
연쇄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서민, 소상공인의 대출금리 부담이 커져
정부가 싫어하는 상황이 오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올라 예금금리 인상을
기대하는 예금, 적금 고객들은 오히려
정부의 경제규제 때문에 피해를 보는 셈이죠



사진처럼 예금금리가 21년 말 부터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고, 이 예금금리를 기반으로
하는 대출금리 또한 꾸준하게 상승하면서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평균 5~7% 정도고
마이너스통장 금리도 5%를 넘기는 등
부동산 영끌족들의 비명소리가 커지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는 은행권의 팔을 비틀어
최대한 대출금리 인상을 자제시키려고 하는 상황이죠

대출금리, 예금금리 인상도 이렇게 정부눈치를
보면서 겨우겨우 하고 있는데,
감히 은행원들이 평균 연봉 1억원을 받고,
고금리 시대에 성과금 잔치를 하면
정부 눈에 거슬리는 행동들만 하는 셈입니다.
그렇지만, 은행들도 사기업, 주식회사인데
수익이 잘 나서 직원들에게 보너스를 주는게
그렇게 잘못된 걸까요?

은행들은 수익이 나도 항상 베풀어야 하는 걸까요?
정부의 눈치를 보면서 소상공인, 서민들에 금융혜택을 늘리거나,
수익만을 추구하며 끝없는 영업 경쟁을 하거나
그 중간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잇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은행들이 사기업, 주식회사임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 예금금리 하나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Posted by 소파파
반응형

 

평균연봉 1억원은 당연하고

정년까지 보장되서 신의직장이라 불리는

취준생들의 로망 은행권

 

특히나 최근 글로벌적인 금리상승으로 인해

은행권들의 수익은 경제침체라는 말이 무색하듯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이라는 큰 파도가 밀려오면서

은행권은 사상최대 수익을 기록함과 동시에

반대로 사상최대의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있죠

여유로울때 최대한 고연차 직원들을 내보내서

조직을 활력있게 변화시키려는 의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모든 업종 기업들이

경제위기에 벌벌떨고 있는 상황에서

사상최대 수익을 기록하는 은행권의

성과급에 대해 알아볼까요?

 

은행권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처럼

수천만원의 성과급을 받는지 살펴볼까요?

 

 

4대 시중은행 22년 상반기 실적을 살펴보면

리딩뱅크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이

약 1조 7,000억원을 기록하고 있고,

그다음 3, 4위권을 경쟁하는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약 1조 4,000억원 ~ 5,000억원 정도입니다.

 

이 수치는 전년도 대비 평균 10% ~ 20% 정도 증가한

수치로 글로벌 경제 불황이라는 파도 속에서도

이익이 증가한 거의 기적같은 실적이죠

 

미국에서 급격한 금리인상이 일어나면서

대한민국도 금리차를 줄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고, 도미노 현상처럼 금리에 가장 영향받는

은행들의 영업이익이 대폭 늘어나게 됩니다.

 

수익이 늘어나면 너무나 당연하게도

직원들은 보너스라 불리는 성과급 잔치를

기대하게 되죠

 

신한은행은 기본급의 361%

KB국민은행은 기본급의 280% + 특별현금 

우리은행은 기본급의 300%

하나은행은 기본급의 300%

 

그리고 기사에는 자세히 나오지 않지만,

300% 정도의 평균 성과급 이외에도

수십~수백만원의 현금성 주식 및 상품권 등을

합치면 사상 최대 성과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은행 평균 성과급인 300%라는

금액은 얼마정도 되는걸까요?

삼성전자처럼 연봉의 50%정도 되는

수천만원정도 보너스를 주는걸까요?

 

 

은행권 평균연봉은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 연봉 1억원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근속연수,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대략 1억원이라고 볼 수 있죠

 

물론 이 평균연봉 1억원에는 기본급 이외에

성과급, 야근수당, 연차수당 등등 다양한

수당들이 들어가있어 성과급 300%에 해당하는

기본급은 약 300만원 정도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다면 평균연봉 1억원 은행원의 기본급은 300만원이고,

성과급은 4개 시중은행 평균 300%이니

 

22년 4대 시중은행 성과급은

300만원 X 300% = 900만원 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처럼 수천만원의

성과급이 터지지는 않지만, 900만원의 성과급은

직장인에겐 결코 작은 금액이 아니죠

특히 은행권은 연봉에서 특별성과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이 성과급은

정말 보너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성과급이

터지지 않으면, 다른 대기업과 비교해서

결코 연봉이 높다고 할 수 없죠

 

오늘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실적이 악화되는 위기 속에서도

사상최대 실적과 사상최대 성과급을 지급하는

은행 연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Posted by 소파파
반응형

코로나로 왠만한 업종이 박살나면서 보너스는 커녕

제대로된 월급을 받지 못하는 회사들이 대부분이지만

빵빵한 보너스가 터지는 업종이 있습니다.

 

 

바로 금융업

그중에서도 특히 은행업종은

두둑한 연말보너스를 지급하며 누구보다

따듯한 연말을 보내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연말 300% 보너스

신한은행 역시 연말 300% 보너스

하나은행도 아직 정해지진 않았지만300%에 가까운 보너스를 지급할 듯 합니다.

 

이처럼 은행들이 역대급 보너스를지급할 수 있는 이유는 미국발 시작된금리상승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이 근 10년넘게 유지된 제로금리에서 벗어나금리를 상승시키면서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추어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고 있죠

 

이에 따라 예대마진이 수익의 근간인 은행으로썬가만히 있어도 돈이 들어오는 상황이 된 셈입니다.

수익이 늘어나면서 배당도 늘어나야 하지만

정부의 눈치때문에 배당은 축소하게 되었고,

직원들에 대한 보너스는 에라 모르겠다 하고

지급한 거 아닐까요?

 

 

KB은행, 신한은행의 경우 평균연봉 1억원은

가뿐히 넘는 초 고연봉 직장입니다.

월 평균 월급은 약 300~400만원 정도로

300%의 연말 보너스를 받으면 기본 월급 이외에

약 1,000만원의 특별 보너스를 받게 되죠

 

이정도면 수천만원의 보너스를 받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통장에 천만원이 넘게 찍히는 직장인은

대기업 임원 빼곤 거의 없겠죠?

 

하지만 모든 은행이 이처럼 천만원 정도의

보너스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이야

순수 민간자본의 시중은행이라 이런 보너스가 가능하지만,

 

우리은행, 기업은행, NH농협은행 처럼

정부가 소유하거나, 지분을 가지고 있거나, 정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은행의 경우 시중은행처럼

파격적인 보너스를 지급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공무원들 연봉 자체가 높지 않은데, 본인들이 관리하는

은행이 보너스로 펑펑 지급한다고 하면 좋아할까요?

정부의 눈치와 입김에서 자유롭지 않은

우리은행, 기업은행, NH농협은행은 시중은행보다

약간 낮은 보너스를 지급할 듯 합니다.

 

물론 이 은행들도 금리인상에 따라 수익이 늘어나면서

직원들에게 보상을 해야 하는 부분은 시중은행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수익이 늘어났는데, 직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지 않는다면 요즘같은 디지털 시대에 뛰어난

젊은 인재를 붙잡을 수 없겠죠

 

오늘은 은행들의 연말 보너스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같은 시중은행은

평균적으로 1,000만원 정도의 보너스를 받지만,

 

우리은행, 기업은행, NH농협은행처럼 정부와 정이 깊은

은행들은 이보다 낮은 보너스를 받게 될 듯 합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Posted by 소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