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사학연금과 더불어
연금 3대장이라 불리는 군인연금
직업군인이 되고 적정 계급, 나이가 되서
제대하게 되면 나라에서는 나라를 위한 희생과
제대군인들의 노후보장을 위해 군인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물론 연금이 공짜로 주는 돈은 아니고,
군생활동안 국민연금처럼 월급에서 일정부분
때서 연금에 적립하고 군대를 제대하게 되면
받는 일종의 국민연금과 비슷한 제도입니다.
군인에도 하사, 중사, 상사 등 부사관과
소위,중위부터 중령, 대령, 장군 등
다양한 계급이 존재하는데 이들 각 계급별
연금은 어느정도 수령하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최대 170만원 정도 수령하는 국민연금과 비교해서
군인연금은 어느정도 많이 받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그나마 가장 최근 자료를 살펴보면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은 약 40만원 정도로,
공무원연금 평균 수령액 240만원의 1/6 수준입니다.
군인연금 평균 수령액은 공무원연금과 비슷한 수준인
약 250만원 정도로 상당히 높은 편이죠
제대한 직업군인들 대부분이 약 250만원 정도를
매달매달 죽을때까지 받는다고 하니
국민연금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상당히 높은 연금액입니다.
그리고 군인연금의 가장 큰 장점은 수령 나이입니다.
국민연금은 만 62세가 되어야 수령할 수 있고,
공무원도 만 60세가 넘어야 수령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연금은 일정 나이가 되야만 수령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내가 직업이 없어서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없어도,
국민연금, 공무원연금은 일정나이가 되야만 받을 수 있죠
하지만 군인연금은 나이제한 없이 제대하자마자
바로 다음날부터 통장에 연금이 들어오게 됩니다.
한마디로 40대에 제대하면 40대부터 죽을떄까지,
50대에 제대하면 50대부터 죽을떄까지
매달매달 평균 250만원이 들어오게 되죠
물론 한창 경제활동을 해야하는 40~50대에 250만원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는 금액이지만,
이 시기에 다들 다른 직업을 가지고 경제활동을 하기 때문에
그 소득과 합치면 결코 무시못할 큰 금액이 되죠
특히 60세가 넘어서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은
변변한 직업 구하기도 하늘의 별따기가 되는 시기에
이들은 매달매달 꼬박꼬박 250만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특별한 노후대비를 하지 않더라도 상당히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계급별 연금 수령액을 한번 살펴볼까요?
군대에는 계급정년이 있기 떄문에
하사로 60세까지 버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현재 계급에서 일정나이가 되서 진급이 안되면
자동으로 전역하게 되죠
그래서 최소한 상사는 되야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군대에서 흔히 행보관 직급인 상사들은 평균 25년
군생활을 한 사람들오 나이는 대략 40중반~50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평균적으로 20대 초중반에 직업군인을 하기 때문에
25년정도 군생활을 하면 최소 40중반을 넘어가기 때문이죠
상사 계급으로 제대하면 약 222만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물론 국민연금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령액입니다.
특히나 40중반부터 매달 200만원이 넘는 돈을
꼬박꼬박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상당한 장점이죠
상사로 제대하고 300만원 정도 월급받는 직장을 가져도
매달 500만원이 넘는 돈을 수령하게 되죠
그리고 장교계급중 장군이 아닌 가장 높은 계급인
대령으로 제대하게 되면 약 400만원을 받게 됩니다.
대령은 약 50초~50중반 나이로 대부분의 회사에서도
퇴직을 많이 준비하는 나이입니다.
하지만 대령으로 제대하면 제대한 다음날부터
매달 400만원이 통장에 들어오게 된다는 점은
일반 직장인들과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50대에 월급으로 매달 400만원 받는 사람도
대기업이 아닌이상 쉽지 않은데,
가만히 집에만 있어도 400만원이 들어오는 부분은
정말 남은 100년 인생이 순탄하고 평화롭지 않을까요?
더군다나 군인의 꽃인 장군으로 진급하게 되면
평균 500만원을 연금으로 받는 것은 물론,
제대 후에도 약 30% 정도가 재취업을 통해
경제적 활동을 이어가게 됩니다.
장군으로 진급하면 그 분야에서 전문가라고
불릴 정도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갖췄기 때문에
제대해도 대부분 사회활동을 하면서
어느정도 소득을 올리게 되죠
매달 평균 500만원을 연금으로 받으면서
추가수입으로 수백만원의 근로소득을 받는다면,
왠만한 대기업 직장인 못지 않은, 직장인이 아닌
왠만한 대기업 임원 못지 않은 생활을 하지 않을까요?
대기업 임원으로 퇴직해도 똑같이 국민연금 겨우
150만원 정도를 받게 되는데,
장군으로 제대하면 평균 500만원 정도를 제대한 다음날부터
통장에 들어오게 되니 상당히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게 됩니다.
오늘은 사학연금, 공무원연금과 더불어 연금 3대장이라
불리는 군인연금 수령액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국민연금에 비해 수령액이 상당히 높지만,
군인이라는 직업 특성상 연봉이 일반 대기업에 비해
상당히 낮은편이고, 군인 직업에 대해 알려진 수많은
단점과 리스크도 상존하기 때문에
단순히 연금수령액만 가지고 절대적인 비교는
적절치 않아보입니다.
다음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재테크, 취업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직원은 왜 전관예우 할까요? ( 순살아파트 / 철근누락 / 감리 ) (0) | 2023.08.06 |
---|---|
대기업 30대 과장 승진하면 연봉 얼마? ( 대기업 / 과장 / 차장 / 30대 / 40대 / 연봉) (0) | 2023.07.23 |
엔화 투자 지금 투자하면 수익 얼마나 날까요? ( 엔저 / 환율 / 재테크 / 환전 ) (0) | 2023.06.19 |
현대차그룹 연봉 1등은 현대차 ? 기아차 ? ( 현대차 / 임원 / 연봉 / 기아차 ) (0) | 2023.06.13 |
30대 직장인 평균연봉은 얼마? 나는 평균보다 위 아래? ( 대기업 / 30대 / 연봉 / 중소기업 ) (0) | 2023.06.06 |